본문 바로가기
ZV I 정보 I/금융 I 경제 I 여신

청년 디지털 일자리 11만개 확대 등 청년 일자리 대책마련

by 거대한냥이 2021. 3. 8.

 

중소·중견기업이 정보기술(IT) 활용 직무에 청년을 채용할 경우 정부가 월 최대 180만원을 6개월간 지원하는 디지털 일자리 사업 인원을 11만명으로 늘린다. (지난해 5만명 대비 지원 규모를 확대)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3일 서울정부청사에서 코로나19로 급격히 악화된 청년 고용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청년고용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 59000억원 예산을 투입해 104만명 청년 고용을 지원하는 내용이 담겼다. -

 

지난해 기준 청년 취업자 수는 3763000명으로 전년대비 183000명이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청년층의 '쉬었음' 규모도 448000명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 '디지털 일자리 사업' 지원 인력을 11만명으로 확대한다. 중소·중견기업이 IT 활용 가능한 직무에 청년을 채용할 경우 인건비를 월 최대 180만원을 6개월간 지원하는 사업이다.

 

'특별고용촉진장려금'도 전체 5만명 중 2만명을 청년층에 우선 지원하고, 중소기업 사업주가 6개월 이상 근로계약을 통해 청년을 채용할 경우 인건비 월 최대 100만원을 길게는 6개월간 지원한다.

 

청년 정규직 등 고용을 증가시킨 기업에는 1인당 연간 최대 1200만원을 세액공제하는 고용증대세제 적용기한도 올해말까지 연장을 검토한다. 또 정부 연구개발 지원금을 받을 경우 청년 채용을 의무화하고 청년 추가 채용시 인건비는 민간매칭자금으로 인정하는 것도 내년까지 연장을 검토한다.

 

대학 비대면 교수학습 개발 지원, 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 실내 체육시설 트레이너 고용 지원, 공연예술분야에서 전문인력 18000명이 채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청년 창업 지원을 통해 일자리 확대도 꾀한다. 비대면 분야 유망 창업기업 발굴 및 지원 예산을 900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3배 늘린다. 구글플레이,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과 협업해 청년 창업기업 해외시장 진입도 지원한다. 청년전용창업자금 융자 지원, 세무회계·기술임치 바우처 지원사업도 추진키로 했다.

 

공공기관의 '청년고용의무제'2023년까지 연장하고 '공공분야 체험형 일자리' 22000, 디지털·그린, 생활방역·안전 일자리 등 분야에서도 청년 직접일자리 28000개를 만들기로 했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번 대책이 코로나19 고용위기 해소를 위해 마련된 만큼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집행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