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근 굉장히 핫해진 파킹통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킹통장이란 이름만 들어서는 잘 모르겠는데요
그러면 파킹통장의 의미와 파킹통장의 적절한 예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파킹통장이란?
파킹(Parking) 통장은 짧은 시간 동안 자금을 보관할 수 있는 통장으로, 그 이름은 돈을 잠시 '주차'하듯이 보관하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고객은 이 통장을 통해 자금을 자유롭게 입출금할 수 있으므로 유리한 조건에서 쉽게 자금을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파킹통장의 특징
보통 고금리는 적금이나 예금을 통해 돈이 묶여있는 상품에 적용이 되었지만, 파킹통장은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하다는 데 있습니다
일반적인 계좌인데 금리가 높아서 하루라도 예치를 했다면 그만큼 이자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거기다 가입이 아닌 자유로운 입출금통장이라는 점에서 사용자입장에서는 매우 간편하다고 할 수 있습니
은행에서는 파킹 통장을 주거래 고객을 확보하는데 용이하고, 자금을 안정적으로 유치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과거에는 주로 토스나 카뱅이 주도적으로 이끌었다면, 최근에는 2금융 저축은행에서 높은 금리로 고객들을 유치하는 데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파킹통장 장점
✅ 금리가 높음
✅ 자유로운 입출금
금리가 왠만한 예적금보다 높아서 충분히 쏠쏠한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금액이 커지면 커질수록 나름 만족할 만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데요
저축은행의 경우 5천만 원 이내 예금자 보호도 받을 수 있으니 잠시 또는 전략적으로 예치를 하신다면 유연하게 자금운용하는 데 큰 장점이 있습니다
파킹통장 단점
✅ 예적금보다 목돈 모으기 힘듬
파킹통장의 최대단점은 목돈을 예치했는데 목돈을 모으지 못한다는 데 있습니다
사람이란 게 가입이 까다롭고 해지할때도 번거롭다면 심리적으로 한번 더 고민하고 행동을 주저하게 만드는 것에 비해, 파킹통장은 바로 출금을 할 수 있다는 것에서 저항없이 내 돈이 수시로 변동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목돈모으기가 예적금보다 훨씬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청년들에게 적금을 추천하는 것도 이자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목돈을 모으는 인내심을 기르는 것 그 자체에 있습니다
돈을 모으는 것이 습관이 되면 절대 가난하려야 가난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자기 절제심과 컨트롤이 충분하다면 그리고 목적과 용도가 분명하다면 파킹통장은 자산을 형성하고 불리는 데 엄청난 전략이 될 수 있겠지만 오히려 양날의 검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파킹통장 추천
파킹통장은 높은 금리를 자랑하는 2금융 저축은행쪽으로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1금융 2금융 3금융이라고 들어보신 적 있을 텐데요
1금융부터 3금융까지 개념정리는 아래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1금융부터 2금융 캐피탈 저축은행 대부업까지 총정리
1금융 2금융 3금융 대부업 등 금융사의 구분과 캐피탈과 저축은행의 차이점에 대해서 명확한 기준없이 대략적으로 알고 있는 분들이 대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말끔히 각 금융권과 금융사
cucucoco.tistory.com
아래 소개하는 파킹통장은 순서와 순위에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1. OK저축은행 파킹통장
2. 다올저축은행 파킹통장
3. 페퍼저축은행 파킹통장
4. SBI저축은행(사이다뱅크) 파킹통장
마치며
지금까지 파킹통장의 의미와 여러 저축은행의 파킹통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제가 소개한 저축은행 외에도 찾아보면 많이 있습니다
자산운용을 할 때 잠시 맡겨두는 측면에서는 파킹통장만큼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상품이 없는 것 같아요
좀 더 현명한 금융생활이 되길 바라면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ZV I 정보 I > 금융 I 경제 I 여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웰뱅 워킹 적금 I 대상 I 금액 I 주요내용 I 신청방법 최종정리 (1) | 2023.10.19 |
---|---|
걷기적금 3곳 전격 비교 I 우리은행 VS 국민은행 VS 웰컴저축은행 I (0) | 2023.10.18 |
대학생 원픽 햇살론 유스 I 대상 I 조건 I 신청방법 (1) | 2023.10.16 |
경기청년 기회사다리금융 I 대상 I 내용 I 신청기간, 방법 I 최종정리 (1) | 2023.10.14 |
윌스트리트란? 역사와 흥미로운 이야기 (0) | 2023.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