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ZV I 정보 I/여성건강 I 여성정보

여성에게 흔한 자율신경실조증의 주요 원인과 증상은?

by 거대한냥이 2023. 11. 10.
반응형

자율신경실조증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유는 여성 특유의 생리주기 및 호르몬의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자율신경실조증의 주요 원인과 증상, 자율신경 조절을 위한 포인트를 소개합니다.

자율신경실조증에 대하여

자율신경실조증은 스트레스로 인해 자율신경의 기능이 무너짐으로써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입니다.

 

자율신경은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자극에 반응하여 몸을 움직입니다.

 

예를 들어, 더운 여름에 땀을 흘리려고 하지 않았는데도 땀이 저절로 나는 것은 자율신경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자율신경에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두 가지가 존재하며, 서로 상반된 역할을 합니다.

 

적극적으로 몸을 움직일 때는 교감신경이 우세하고, 몸을 쉬게 하고 움직이지 않을 때는 부교감신경이 우세합니다.

 

하지만 서로의 신경의 균형이 깨지면 몸을 조절할 수 없게 되고 다음과 같은 신체적, 정신적 상태의 변화가 나타납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 질 건조증 원인과 해결

신체적 변화 : 두통이나 머리가 무겁다.

두통이나 머리가 무거운 느낌

눈의 피로, 눈꺼풀의 경련, 안구건조증

이명이나 귀 막힘

갈증과 미각 이상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추위

숨이 차거나 숨이 가쁨

메스꺼움이나 복부 불쾌감

팔다리의 마비나 통증, 냉증

어깨 결림이나 근육통

나른함이나 피로, 식욕부진 등

정신적 변화 : 불안감

짜증이 난다.

금방 슬퍼지고 우울해진다.

기력이 없다

불안감

집중력이 지속되지 않는다 등

 

이러한 증상들은 여러 가지가 동시에 나타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큰 것이 특징입니다

자율신경실조증의 주요 원인

자율신경실조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신적 스트레스

생활습관 장애

갱년기 장애(호르몬 균형의 교란)

선천적 요인

 

적당한 스트레스는 살아가는데 필요한 것입니다.

 

하지만 너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교감신경이 항상 작동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몸은 쉬지 못하고 피로와 손상만 쌓여가는 것입니다

 

생활습관이 흐트러져 자율신경이 항상 흥분하는 상황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갱년기가 되면 호르몬의 균형이 깨지기 때문에 자율신경실조증에 걸리기 쉽습니다

자율신경실조증은 왜 여성에게 더 많을까?

자율신경실조증은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배란, 생리, 임신, 폐경 등 여성 특유의 성주기에 따라 분비되는 호르몬과 자율신경이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자율신경은 호르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호르몬이 저하되면 자율신경도 함께 저하됩니다

 

예를 들어 폐경이 되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합니다.

 

그러면 자율신경을 관장하는 시상하부라는 뇌의 기능이 흐트러져 혈관의 수축과 확장을 적절히 조절하지 못해 얼굴이 갑자기 화끈거리고 땀이 많이 나며 얼굴이 붉어지는 안면홍조 현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갱년기 장애도 자율신경실조증과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신체적 변화로는 심계항진, 호흡곤란, 비정상적인 발한, 안면홍조, 이명, 어지럼증 등이 있고, 정신적 변화로는 짜증, 불안감, 불면증 등이 있씁니다

 

갱년기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고 미리미리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 거식증, 폭식증이 임신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

자율신경 정돈을 위한 포인트

흐트러진 자율신경을 바로잡기 위한 포인트는 다음 4가지입니다.

 

생활습관 개선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지 않는다.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운동을 습관화한다.

 

우리 몸 속 생체시계는 하루의 행동 주기에 따라 신경과 내장이 움직이도록 조정되어 있습니다

 

규칙적인 생활과 식습관을 포함한 생활습관은 자율신경의 균형을 맞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상, 취침, 식사 시간을 정하고 이에 맞춰 생활하면 리듬이 잘 잡히게 됩니다

 

또한, 스트레스를 쌓아두지 말고 잘 해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정적인 생각을 자주 하는 사람은 긍정적인 생각을 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휴식 시간을 갖는 것도 중요합니다. 

 

몸을 움직이는 습관을 기르는 것도 자율신경실조증 예방과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여성에게 많은 자율신경실조증은 호르몬이 영향을 미칩니다


자율신경실조증은 특히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배란, 생리, 임신, 폐경 등의 주기로 분비되는 호르몬과 자율신경과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자율신경은 호르몬 분비에도 관여하며, 호르몬 분비 상황에 따라 자율신경도 영향을 받습니다

 

자율신경실조증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생활리듬을 잘 지키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규칙적인 운동도 효과적입니다

자율신경실조증으로 고민하고 있다면 규칙적인 식습관과 생활, 스트레스 해소, 충분한 수면과 휴식, 운동을 습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센세이셔널 버튼